§ 한국방송1n2

'쓰레기 줄이기'

가을엔모기 2007. 7. 19. 14:29
✤ 가정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의 양
2005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에 의하면 1인당 하루에 0.82kg

✤ 가정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의 구성비
음식물쓰레기 약 26%, 종이류 24%, 플라스틱 8%, 금속류 7%, 유리병류 5%, 등...

✤ 분리수거
재사용 - 같은 용도로 다시 사용하는 것
재활용 - 물질회수, 에너지 회수로 나뉨

✤ 분리수거의 실천
자연 훼손을 막고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음

✤ 분리수거를 잘 하게 되었을 시
천연자원 채취량을 줄일 수 있고, 쓰레기를 재활용하면 천연자원을 채취하는 과정의 자연훼손과 가공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쓰레기의 재활용은 이러한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방안

✤ 쓰레기 줄이는 법 공개!
비닐봉지의 입구를 작게 한다 -> 청소기로 빨아들인다

✤ 지렁이 구입
http://www.ywca.or.kr
http://www.ecobuddha.org

✤ 음식물 처리기란?
음식물쓰레기를 갈아서 액체상태로 만든후 미생물을 투입하는 액상소멸방식이 있는데 방식이 있습니다. 그러나 액상소멸방식은 고형분과 유기물의 하수구를 배출량이 30~80%로 많기 때문에 사용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탈수만 돼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게 하는 것도 있고
- 냉장식, 건조식, 건조 분쇄식 그리고 탈수만 가능한 것들도 있다
내 가정에서 어떤 음식물 쓰레기가 많이 나오느냐를 고려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 썩은 음식물은 음식물쓰레기로 버려도 되나요?
사료를 만드는 과정에서 멸균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광우병 등의 우려가 있으므로 음식물쓰레기로 제조한 사료는 소는 먹일 수 없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썩은
음식물은 양분의 손실이 크므로 사료로서의 가치는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가정에서는 보관하고 있는 식품이 상미기간을 지나기 전에 조리하여 먹는 것이 중요하며 또한 음식은 필요한 양만큼 만들어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합니다.


음식물류폐기물 분리배출 기준
구분 음식물 폐기물이 아닌 물질

채소류 파, 미나리 등의 뿌리, 고추,
양파, 마늘, 생강, 옥수수 껍질, 옥수수대

과일류 호두, 밤, 땅콩 등 딱딱한 껍대기
복숭아, 살구, 감 등의 씨

곡류 왕겨

✤ 음식물쓰레기를 일반쓰레기 봉투에 넣어 버리면?
음식물쓰레기를 분리수거하고 있는 지역에 사는 주민들은 음식물쓰레기를 종량제봉투에 넣어서 버리면 안 됩니다.
만약 발각시 경고 스티커를 부착하고 쓰레기 봉투를 수거해 가지 않게 되어 있다
왜냐하면 음식물쓰레기는 부패성이 있어서 매립시 악취와 다량의 침출수가 발생하며, 유기물을 다량함유하고 있어 퇴비 및 사료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기 때문에
폐기물관리법에 의해 2005년 1월 1일부터 시지역 이상에서 발생한 음식물쓰레기는 매립을 금지하고 있습니다만 소각처리를 금지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 EM 이란?
EM은 Effective Micro-organisms의 머리글자를 딴 약자로서 유용한 미생물들이란 뜻 -
일반적으로 효모, 유산균, 누룩균, 광합성 세균, 방선균 등 인류가 오래 전부터 식품의 발효 등에 이용해 왔던 미생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미생물들은 항산화 작용 또는 항산화 물질을 생성함으로써 서로 공생하며 부패를 억제하여 자연을 소생의 방향으로 이끌어나간다.

✤ EM의 효과
① 악취를 없앤다.(좋은 공기)
② 물을 깨끗이 한다.(좋은 물)
③ 철, 식품 등의 산화를 방지한다.(좋은 환경과 먹거리)

✤ 음식물 쓰레기를 넣고 EM발효액을 붓고
15일 경과 후면 발효가 되어서 그대로 퇴비가 된다

✤ 쓰레기의 분리배출 표시?
환경부의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의 시행에 따라 국민들이 재활용의무대상 표장재의 분리배출을 쉽게하고 재활용가능폐기물의 분리수거율을 높이기 위하여 분리배출표시제도를 2003년부터 시행하고 있습니다.
동 제도에 의거 빈용기보증금이 포함된 제품의 용기를 제외한 재활용의무 대상 포장재에는 의무적으로 분리배출 표시를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분리배출표시 도안의 내부에는 포장재의 재질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플라스틱은 PET, HDPE, LDPE, 등 7개로 구분하여 재질을 구체적으로 표시하며 금속은 철과 알미늄으로 구분하여 표시합니다. 또한 종이는 종이와 종이팩으로 구분하여 표시합니다.
 
 
 

< 출처 : KBS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 한국방송1n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박  (0) 2007.08.20
관절  (0) 2007.08.20
'클로렐라'  (0) 2007.07.19
식중독  (0) 2007.07.19
척추관 협착증  (0) 2007.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