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중독
미생물 또는 미생물의 독소, 중금속을 포함한 각종 화학물질,
기타 생물학적 독소 등에 오염된 음식을 먹고 발생하는 급성 질환
** 바이러스성 식중독 - 노로바이러스(Norovirus)
식중독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그룹의 일종
항생제로 치료가 되지 않으며 전염력이 매우 강함
** 세균성 식중독 - 살모넬라균
세균성 식중독의 가장 흔한 원인균
** 세균성 식중독 - 포도상구균
정상인의 25%에서 발견되는 흔한 균
독소는 내열성이 강해 끓여도 파괴되지 않음
** 세균성 식중독 - 장염비브리오균
여름과 가을철에 오염된 어패류를 날것으로 먹었을 때 발생
** 노로바이러스와 혈액형
O형 혈액형은 감염이 잘 되고
B형 혈액형은 감염이 잘 되지 않음
**식중독 지수
지수 86 이상 (위험) 기온 35℃이상. 3-4 시간 내 부패
지수 53 - 85 (경고) 기온 30~35℃. 4-6 시간 내 부패
지수 30 - 53 (주의) 기온 25~30℃. 6-11시간 내 부패
지수 10 - 34 (관심) 기온 25~30℃. 식중독 발생 우려
**식중독 예방을 위한 냉장고 사용수칙
- 육류나 달걀, 껍질을 깎은 과일 등은 냉장고에서 꺼낸 후
상온에서 2시간 이상 두지 말 것
- 냉동식재료 해동 시에는 상온에서 방치하지 말고
냉장실이나 찬물, 전자레인지로 해동하고 즉시 조리
- 냉장 보관된 가축이나 가금류 고기의 경우, 1~2일내에 조리,
영하 18도 이하의 냉동보관의 경우, 3~4개월 내에 처리
** 식중독 예방을 위한 주방용품 관리
- 다른 식재료를 취급할 때마다 도마나 칼 등을 구분하거나
깨끗이 세척한 후에 사용
- 도마의 경우, 뜨거운 물이나 세제와 락스를 섞어서 세척하고
주기적으로 햇볕에 말림
- 행주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삶기, 또는 전자레인지를 이용해
살균 소독
- 가축이나 가금류의 날고기를 담았던 그릇이나 주방기구는
세척 후 건조 시까지 따로 보관
** 장마철 식중독예방수칙
- 식수는 반드시 끓여 먹을 것
- 오염된 물에 닿았던 음식은 절대 먹지 말고 폐기
- 조리나 식사 전, 화장실 사용 후 철저한 손 씻기
** 식중독, 이것이 궁금하다!
1. 식중독 설사에는 설사약을 먹어야한다? (X)
2. 두드러기가 없으면 식중독이 아니다? (X)
3. 녹차를 함께 마시면 식중독을 막을 수 있다? (△)
** 탈수증상 시 수분과 전해질 보충
물 1ℓ에 설탕 4큰술과 소금 1스푼을 녹여서 조금씩 자주 섭취
미생물 또는 미생물의 독소, 중금속을 포함한 각종 화학물질,
기타 생물학적 독소 등에 오염된 음식을 먹고 발생하는 급성 질환
** 바이러스성 식중독 - 노로바이러스(Norovirus)
식중독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그룹의 일종
항생제로 치료가 되지 않으며 전염력이 매우 강함
** 세균성 식중독 - 살모넬라균
세균성 식중독의 가장 흔한 원인균
** 세균성 식중독 - 포도상구균
정상인의 25%에서 발견되는 흔한 균
독소는 내열성이 강해 끓여도 파괴되지 않음
** 세균성 식중독 - 장염비브리오균
여름과 가을철에 오염된 어패류를 날것으로 먹었을 때 발생
** 노로바이러스와 혈액형
O형 혈액형은 감염이 잘 되고
B형 혈액형은 감염이 잘 되지 않음
**식중독 지수
지수 86 이상 (위험) 기온 35℃이상. 3-4 시간 내 부패
지수 53 - 85 (경고) 기온 30~35℃. 4-6 시간 내 부패
지수 30 - 53 (주의) 기온 25~30℃. 6-11시간 내 부패
지수 10 - 34 (관심) 기온 25~30℃. 식중독 발생 우려
**식중독 예방을 위한 냉장고 사용수칙
- 육류나 달걀, 껍질을 깎은 과일 등은 냉장고에서 꺼낸 후
상온에서 2시간 이상 두지 말 것
- 냉동식재료 해동 시에는 상온에서 방치하지 말고
냉장실이나 찬물, 전자레인지로 해동하고 즉시 조리
- 냉장 보관된 가축이나 가금류 고기의 경우, 1~2일내에 조리,
영하 18도 이하의 냉동보관의 경우, 3~4개월 내에 처리
** 식중독 예방을 위한 주방용품 관리
- 다른 식재료를 취급할 때마다 도마나 칼 등을 구분하거나
깨끗이 세척한 후에 사용
- 도마의 경우, 뜨거운 물이나 세제와 락스를 섞어서 세척하고
주기적으로 햇볕에 말림
- 행주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삶기, 또는 전자레인지를 이용해
살균 소독
- 가축이나 가금류의 날고기를 담았던 그릇이나 주방기구는
세척 후 건조 시까지 따로 보관
** 장마철 식중독예방수칙
- 식수는 반드시 끓여 먹을 것
- 오염된 물에 닿았던 음식은 절대 먹지 말고 폐기
- 조리나 식사 전, 화장실 사용 후 철저한 손 씻기
** 식중독, 이것이 궁금하다!
1. 식중독 설사에는 설사약을 먹어야한다? (X)
2. 두드러기가 없으면 식중독이 아니다? (X)
3. 녹차를 함께 마시면 식중독을 막을 수 있다? (△)
** 탈수증상 시 수분과 전해질 보충
물 1ℓ에 설탕 4큰술과 소금 1스푼을 녹여서 조금씩 자주 섭취
< 출처 : KBS무엇이든 물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