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타민②

301회 병원사용설명서 (정형외과 VS 재활의학과)

가을엔모기 2009. 8. 10. 11:46

▶병원 사용 설명서◀

- 정형외과 VS 재활의학과 - 



자칫 헷갈리기 쉬운
정형외과와 재활의학과 치료의 모든 것!



 질환 #1. 디스크
흔히 디스크라 불리는 추간판탈출증!
척추 뼈 사이에 있는 추간판수핵이 탈출돼
신경을 자극하는 질환!

* 디스크 진단시 정형외과 처방 - 추간판 제거수술
정형외과에서 시행되는 가장 대표적인 수술로
수술을 통해 신경을 누르고 있던 추간판을 제거 한다!

* 디스크 진단시 재활의학과 처방 - 윌리엄 운동법
재활의학과에서는 디스트로 인한 통증을 완화 시키는 게 주 목적!
근육을 강화하는 윌리업 운동법이 있다.

윌리엄 운동법
첫째, 바닥에 누워 무읖을 굽히고 복부에 힘을 준채로 허리를 들어올린다.
이때 척추가 바닥에 닿아 있어야 한다.
둘째, 바닥에 누워 양손으로 허벅지를 가슴 높이까지 당긴다.
이때 허리에 힘을 준채로 상체 역시 들어올려 10초 정도 호흡을 유지하며 버틴다.
셋째, 양쪽 무릎을 90도 정도 굽힌다.
그리고 양팔을 최대한 무릎높이까지 뻗은상태에서 상체를 일으킨다.
이때도 역시 허리에 힘을 준채로 10초 정도 유지하는 것이 중요!
넷째, 허리를 곧게 세우고 양 손 끝이 발끝에 닿을 만큼 뻗는다.
역시 허리에 힘을 준 상태에서 최대한 상체를 구부린다.



 질환 #2. 관절염
노화로 인해 관절 연골이
닳아 없어지는 질환, 퇴행성 관절염!

* 관절염 진단시 정형외과 처방 - 인공관절수술
고도의 퇴행성 관절염으로 운동장애, 보행 장애가 발생하는
환자들에게는 닳아 없어진 연골을 인공관절로 대신하는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 관절염 진단시 재활의학과 처방 - 자전거타기
근력을 강화하는 대표적인 치료법!
가벼운 관절염은 꾸준한 근력운동만으로도  증상이 완화 될 수 있다.



 질환 #3. 운동부상
운동선수부터, 운동을 좋아하는 일반인들까지!
무리한 운동과 예상치 못한 사고로 생기는 운동부상!

* 운동부상 진단시 정형외과 처방 - 관절 내시경 수술
운동 부상으로 인한 십자인대 파열은
관절 내시경 수술을 통해 새로운 인공 인대를 삽입 한다.
또한 어깨 부상 등의 경우에도 내시경을 통해 파열된 부위를 간편히 꿰매줄수있다.

* 관절염 진단시 재활의학과 처방
다양한 운동치료를 통해  운동부상 회복에 도움을 주고 있다.

핑거레더
굳어진 어깨를 조금씩 들어 들어올릴 수 있는 운동 치료 기기

숄더 휠
어깨의 회전 운동을 반복해, 어깨 부상에 용의한 운동 치료기기

수치료
대형욕조에서 물의 압력을 이용해 부상 부위의
붓기를 가라앉히고 통증 감소에 도움을 주는 치료법


===================================================================================

윤경호 교수

- 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 교수
- 대한정형외과 스포츠의학회지 심사위원
- 동대한정형외과 학회지 편집위원
- 대한슬관절학회지 심사위원

이종하 교수

- 경희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 대한재활의학회 회원
- 대한스포츠의학회 이사
- KBO 반도핑위원장

 

<자료 출처 : KBS 비타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