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대한 밥상! “밥이 보약!” - 중금속 배출 >>
♦ 황사와 중금속
봄의 불청객 황사!! 올 봄에는 황사가 예년보다 잦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황사가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는 이유는 수은, 알루미늄과 납 같이 몸에 해로운 중금속이 다량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황사가 한 번 발생하면 우리나라에는 211만 톤 가량의 먼지가 유입돼고 이 때, 중국 공업지대에서 유입되는 중금속의 양도 최고 21배까지 늘어나게 된다.
▷ 집안에서만 하루 종일 있을 수도 없고, 결국 황사 속 중금속에 노출 될 수밖에 없는 거 아닐까?
우리 몸에 들어온 황사 속 중금속은 밖으로 잘 배출되지 않고 뼈와 신장, 간이나 뇌 같은 주요 장기에 쌓이는 게 된다. 장기간 중금속이 쌓일 경우 장기가 파괴될 수밖에 없다. 황사가 발생하면 노약자나 어린이는 물론 건강한 사람도 불필요한 외출을 삼가하고 물을 많이 마셔야 한다. 그리고 외출 후 세안 시 눈,목,코 등 자극에 예민한 점막은 생리식염수로 씻어 줘야 한다.
♦ 칡의 효능
▷ 고서에 쓰인 칡의 효능
칡에 대해 본초강목에는 ‘소장과 대장을 잘 통하게 한다’라고 쓰여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칡 생산량은 2005년에는 2200톤이었다.
▷ 미역국과 궁합이 잘 맞는 칡밥!
미역에 풍부한 알긴산은 스펀지처럼 중금속을 흡수해서 배출을 하는 효능이 있다! 칡밥과 미역국을 함께 드시거나 칡을 이용해 반죽한 것을 미역국에 넣어 먹어도 중금속 배출에 아주 효과적이다.
▷ 구황식품인 칡
옛날부터 칡은 배고픈 서민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구황식품이었다. 칡에서 채집한 녹말은 아주 질이 좋아서 양분이 많이 저장되어 있는 늦가을에서 딱 지금인 이른 봄에 나온 칡에서 얻는 녹말로 떡이나 국수를 만들어 먹었고 칡의 어린순도 나물로 쓸 수 있어 서민들의 배고픔을 달래주는 데 한몫을 해왔다.
▷ 칡으로 만든 목욕 타월
옛날에는 칡의 줄기로 만든 수건을 목욕 타월로 썼다고 한다. 중국 고대 유가 경전으로 오경 중 하나인 <예기>에 군자의 일상 생활예절에 대해 나와 있는데, 이 책에 ‘군자가 목욕할 때는 두 가지 수건을 쓰는데 상체는 부드러운 칡 타월을 쓰고 하체는 거친 것을 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 칡에 대한 궁금증
▷ 칡이 중금속을 어떻게 몸속에서 배출해주는 걸까?
칡이 중금속을 해독하는 이유는 칡에 들어있는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이 유해성 금속 이온과 착염을 형성하여 체내 중금속함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칡 열수 추출액과 체내 알루미늄의 흡수를 억제하고 해독기구를 강화시킴으로써 대변이나 뇨로 배설을 촉진시켜 혈액 및 신장 조직 내의 알루미늄 축적을 완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칡의 polyphenol 성분이 중금속의 화학 흡착에 의해 침전을 일으켜 중금속을 제거하므로 칡의 급여로 인해 침전을 일으켜 중금속을 제거함으로써 칡의 급여로 인하여 간과 신장조직의 카드뮴 축적을 완화시킬 있다고 생각된다.
▷ 칡밥을 지을 때 칡즙에 쌀을 넣어 밥을 짓는 것과 칡을 넣어서 밥을 짓는 것 중 어떤 게 더 좋을까?
칡밥을 지을 때 칡즙에 쌀을 넣어 짓거나 아니면 칡 열수 추출물에 밥을 지어도 되고 칡은 넣어서 밥을 지어도 된다.
▷ 칡을 넣어서 밥을 지으면 열이 가해지는 건데 괜찮은 걸까?
칡은 온도의 영향을 덜 받으며, 온도가 증가할수록 중금속 제거율이 높기 때문에 칡을 가열하여 섭취하여도 좋다. 그리고 칡은 다량의 전분(10-14%)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전분은 특성 상 그대로의 상태로는 냉수에 녹지 않고 소화효소의 작용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물을 넣고 가열하여 이용하는 것이 좋다. 다만 너무 고온에서 가열하게 되면 칡 내의 탄닌 성분과 카테킨 성분이 빠져나와 쓴맛이 강해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 올 봄에 황사가 심하다고 하는데... 중금속 배출에 좋은 칡을 얼마나 먹으면 좋을까?
정확하게 칡의 1일 섭취량으로 정해진 것은 없다. 단, 칡은 비교적 찬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몸이 찬 사람이 오래 복용하면 좋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칡은 몸에 열이 많은 사람에게 좋은 식품이자 보약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칡의 독성은 약하지만 장기간 복용은 피하는 것이 좋다.
▷ 칡은 뿌리뿐 아니라 어린순도 나물도 먹는다고 했는데... 혹시 칡의 다른 부분을 먹어도 중금속 배출에 도움이 될까?
칡의 어린순으로 나물을 해먹기도 하고 쌀과 섞어 칡밥을 지어서도 먹는다. 뿌리에서 즙을 짜서도 먹고 어린순을 꺾어 말려서‘갈용’이라 하여 몸의 원기를 돋우는 약으로 쓰기도 한다.
칡꽃인 갈화는 식품의 부원료로서 최소량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고 잎은 식품원료로도 사용이 불가능하다.
칡의 다른 부분도 먹기는 하지만 중금속 배출 작용과 관련하여서는 아직 연구가 없는 상태이다.
♦ 위대한 메뉴
▷ 칡밥(300kcal)
▷ 칡옹심이미역국(180kcal)
▷ 칡약식(280kcal)
▷ 칡과일펀치(260kcal)
< 자료출처 : KBS비타민 >
♦ 황사와 중금속
봄의 불청객 황사!! 올 봄에는 황사가 예년보다 잦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황사가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는 이유는 수은, 알루미늄과 납 같이 몸에 해로운 중금속이 다량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황사가 한 번 발생하면 우리나라에는 211만 톤 가량의 먼지가 유입돼고 이 때, 중국 공업지대에서 유입되는 중금속의 양도 최고 21배까지 늘어나게 된다.
▷ 집안에서만 하루 종일 있을 수도 없고, 결국 황사 속 중금속에 노출 될 수밖에 없는 거 아닐까?
우리 몸에 들어온 황사 속 중금속은 밖으로 잘 배출되지 않고 뼈와 신장, 간이나 뇌 같은 주요 장기에 쌓이는 게 된다. 장기간 중금속이 쌓일 경우 장기가 파괴될 수밖에 없다. 황사가 발생하면 노약자나 어린이는 물론 건강한 사람도 불필요한 외출을 삼가하고 물을 많이 마셔야 한다. 그리고 외출 후 세안 시 눈,목,코 등 자극에 예민한 점막은 생리식염수로 씻어 줘야 한다.
♦ 칡의 효능
▷ 고서에 쓰인 칡의 효능
칡에 대해 본초강목에는 ‘소장과 대장을 잘 통하게 한다’라고 쓰여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칡 생산량은 2005년에는 2200톤이었다.
▷ 미역국과 궁합이 잘 맞는 칡밥!
미역에 풍부한 알긴산은 스펀지처럼 중금속을 흡수해서 배출을 하는 효능이 있다! 칡밥과 미역국을 함께 드시거나 칡을 이용해 반죽한 것을 미역국에 넣어 먹어도 중금속 배출에 아주 효과적이다.
▷ 구황식품인 칡
옛날부터 칡은 배고픈 서민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구황식품이었다. 칡에서 채집한 녹말은 아주 질이 좋아서 양분이 많이 저장되어 있는 늦가을에서 딱 지금인 이른 봄에 나온 칡에서 얻는 녹말로 떡이나 국수를 만들어 먹었고 칡의 어린순도 나물로 쓸 수 있어 서민들의 배고픔을 달래주는 데 한몫을 해왔다.
▷ 칡으로 만든 목욕 타월
옛날에는 칡의 줄기로 만든 수건을 목욕 타월로 썼다고 한다. 중국 고대 유가 경전으로 오경 중 하나인 <예기>에 군자의 일상 생활예절에 대해 나와 있는데, 이 책에 ‘군자가 목욕할 때는 두 가지 수건을 쓰는데 상체는 부드러운 칡 타월을 쓰고 하체는 거친 것을 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 칡에 대한 궁금증
▷ 칡이 중금속을 어떻게 몸속에서 배출해주는 걸까?
칡이 중금속을 해독하는 이유는 칡에 들어있는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이 유해성 금속 이온과 착염을 형성하여 체내 중금속함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칡 열수 추출액과 체내 알루미늄의 흡수를 억제하고 해독기구를 강화시킴으로써 대변이나 뇨로 배설을 촉진시켜 혈액 및 신장 조직 내의 알루미늄 축적을 완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칡의 polyphenol 성분이 중금속의 화학 흡착에 의해 침전을 일으켜 중금속을 제거하므로 칡의 급여로 인해 침전을 일으켜 중금속을 제거함으로써 칡의 급여로 인하여 간과 신장조직의 카드뮴 축적을 완화시킬 있다고 생각된다.
▷ 칡밥을 지을 때 칡즙에 쌀을 넣어 밥을 짓는 것과 칡을 넣어서 밥을 짓는 것 중 어떤 게 더 좋을까?
칡밥을 지을 때 칡즙에 쌀을 넣어 짓거나 아니면 칡 열수 추출물에 밥을 지어도 되고 칡은 넣어서 밥을 지어도 된다.
▷ 칡을 넣어서 밥을 지으면 열이 가해지는 건데 괜찮은 걸까?
칡은 온도의 영향을 덜 받으며, 온도가 증가할수록 중금속 제거율이 높기 때문에 칡을 가열하여 섭취하여도 좋다. 그리고 칡은 다량의 전분(10-14%)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전분은 특성 상 그대로의 상태로는 냉수에 녹지 않고 소화효소의 작용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물을 넣고 가열하여 이용하는 것이 좋다. 다만 너무 고온에서 가열하게 되면 칡 내의 탄닌 성분과 카테킨 성분이 빠져나와 쓴맛이 강해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 올 봄에 황사가 심하다고 하는데... 중금속 배출에 좋은 칡을 얼마나 먹으면 좋을까?
정확하게 칡의 1일 섭취량으로 정해진 것은 없다. 단, 칡은 비교적 찬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몸이 찬 사람이 오래 복용하면 좋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칡은 몸에 열이 많은 사람에게 좋은 식품이자 보약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칡의 독성은 약하지만 장기간 복용은 피하는 것이 좋다.
▷ 칡은 뿌리뿐 아니라 어린순도 나물도 먹는다고 했는데... 혹시 칡의 다른 부분을 먹어도 중금속 배출에 도움이 될까?
칡의 어린순으로 나물을 해먹기도 하고 쌀과 섞어 칡밥을 지어서도 먹는다. 뿌리에서 즙을 짜서도 먹고 어린순을 꺾어 말려서‘갈용’이라 하여 몸의 원기를 돋우는 약으로 쓰기도 한다.
칡꽃인 갈화는 식품의 부원료로서 최소량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고 잎은 식품원료로도 사용이 불가능하다.
칡의 다른 부분도 먹기는 하지만 중금속 배출 작용과 관련하여서는 아직 연구가 없는 상태이다.
♦ 위대한 메뉴
▷ 칡밥(300kcal)
▷ 칡옹심이미역국(180kcal)
▷ 칡약식(280kcal)
▷ 칡과일펀치(260kcal)
< 자료출처 : KBS비타민 >
'§ 비타민②'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위대한 밥상! “밥이 보약!” - 암예방 >> (0) | 2007.04.02 |
---|---|
<< 위대한 밥상! “밥이 보약!” - 노화방지 >> (0) | 2007.03.26 |
<< 위대한 밥상! “밥이 보약!” - 고혈압 >> (0) | 2007.03.12 |
<< 위대한 밥상! “밥이 보약!” - 당뇨 >> (0) | 2007.03.09 |
<< 위대한 밥상! “밥이 보약!” - 나트륨배출 >> (0) | 2007.03.09 |